Close Menu

    Subscribe to Updates

    Get the latest creative news from FooBar about art, design and business.

    What's Hot

    “대학이 평생교육 중심”…교육부 ‘인공지능·디지털 30+ 프로젝트’ 발표

    2024년 10월 21일

    군산시 교육도시 조성 동력 확보…평생교육 등 7개 공모에 선정

    2024년 10월 21일

    공주 ‘제9회 평생학습&책 축제’ 성황…탄소중립 실천 의지 주력

    2024년 10월 21일
    Facebook X (Twitter) Instagram
    Facebook X (Twitter) Instagram
    평생학습타임즈평생학습타임즈
    Subscribe
    • Home
    • 최신뉴스

      “대학이 평생교육 중심”…교육부 ‘인공지능·디지털 30+ 프로젝트’ 발표

      2024년 10월 21일

      수원화성예다교육원, 우리문화진흥원 수원지부로 지정…현판 전수

      2024년 10월 21일

      충북 문해 한마당 성황…배움의 소중한 가치 되새겨

      2024년 10월 21일

      군인 자녀 모집형 자율형 공립고 ‘경북 영천고’ 최종 선정

      2024년 10월 21일

      제1차 자유시민포럼 성황…명성황후의 삶 재조명

      2024년 10월 14일
    • 현장소식

      군산시 교육도시 조성 동력 확보…평생교육 등 7개 공모에 선정

      2024년 10월 21일

      공주 ‘제9회 평생학습&책 축제’ 성황…탄소중립 실천 의지 주력

      2024년 10월 21일

      안산 다채움 학습성과공유회 성료…”배움을 나눔으로 실천”

      2024년 10월 21일

      함께 모두를 잇는 ‘옥천군 평생학습축제’ 성료

      2024년 10월 21일

      당진시 제15회 평생학습 한마당 성황리 마쳐

      2024년 10월 21일
    • 기획·특집

      원주시-로아노크시 자매결연 60주년…한지-다도 등 전통문화 교류

      2024년 10월 14일

      시니어배움터락 ‘사회적 소통력 증진 프로젝트’ 진행

      2024년 10월 14일

      寒露(한로)

      2024년 10월 14일

      우리문화진흥원, ‘현대적 양성평등 제례문화’ 확립 도모

      2024년 10월 07일

      문화예술과 봉사 공유 공동체의식 강화…시민리더십 제고

      2024년 09월 23일
    • 오피니언

      [홍순원 칼럼] 통일과 이데올로기

      2024년 10월 21일

      [오민석 칼럼] 지역문화 참여의식과 문화력

      2024년 10월 21일

      [홍순원 칼럼] 최저 임금제와 노동권

      2024년 10월 14일

      [오민석 칼럼] 관광과 연계한 문화력

      2024년 10월 14일

      [홍순원 칼럼] 유전자 편집 기술의 과제

      2024년 10월 07일
    • 이슈 브리핑

      경기도 ‘느린 학습자’ 평생교육 지원 정담회 개최

      2024년 10월 21일

      음성-진천, 전국 평생학습도시 페스티벌 ‘좋은 정책 어워즈 최우수’

      2024년 10월 21일

      동대문구 교육박람회 개최…’고교진학·미래교육’ 구성

      2024년 10월 21일

      충북, 인도에서 K-유학생 설명회 열어…인재 영입 및 정착 지원

      2024년 10월 14일

      제주세계미래발전포럼 출범 및 세미나…대한민국 미래발전 도모

      2024년 10월 14일
    • 지역사회교육운동

      온마음성장연구소 ‘사회적 마을엄마’ 과정 성료

      2024년 10월 21일

      사람과교육 공유학습 ‘디어 마이 프렌즈’ 낭독극 관람 진행

      2024년 10월 21일

      대전평생학습관 ‘3대가 함께하는 세대공감 예절 체험’ 운영

      2024년 10월 21일

      평생교육나눔학교-충북대 동아리 협업 ‘벽화 그리기 봉사’ 펼쳐

      2024년 10월 14일

      충북시민대학 온라인 캠퍼스 운영…IT교육 등 300여개 강좌 진행

      2024년 10월 14일
    평생학습타임즈평생학습타임즈
    Home»오피니언»[홍순원 칼럼] 최저 임금제와 노동권
    오피니언

    [홍순원 칼럼] 최저 임금제와 노동권

    lltimes3By lltimes32024년 10월 14일댓글 없음3 Mins Read
    Facebook Twitter Email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Email

    노동은 인격적 기능, 생산적 기능, 사회적 기능을 수행한다. 먼저 노동의 인격적 기능은 노동의 주체인 인간을 대상화하는 데 있다. 철학자 헤겔은 노동을 주체와 개체가 통일되는 과정으로서 자의식과 정체성을 형성하는 활동이라고 설명하였다. 노동을 통해 인간은 자기의 능력을 나타내고 자신의 가치와 삶의 목표를 실현한다. 노동의 생산적 기능은 생존을 위하여 자연 세계를 가공하고 변형하여 자원을 생산하고 분배하는 데 있다. 그 결과로 인간은 필요한 경제적 삶을 영위하기 위한 재화와 서비스를 얻는다. 노동의 사회적 기능은 인간 사이의 상호작용을 일으키고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데 있다. 자급자족 노동에서 분업으로의 변화는 노동의 사회적 기능을 강화하였다. 분업은 타인이 필요로 하는 재화나 서비스를 예측하여 제공하면서 자신의 이익을 실현하는 노동이다.

    수요와 공급의 원리에 따라 노동의 공급이 증가하면 노동의 가치는 하락한다. 노동자는 수입을 늘리기 위해서 더 많은 노동을 하게 되고 노동의 가치가 더 하락하는 악순환이 지속된다. 최저임금 제도는 이러한 악순환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최저임금제를 고안한 경제학자 발터 오이켄(Walter Eucken)은 이론적으로 노동시장에서 임금이 하락하면 수요 공급의 원칙에 따라 노동 공급이 하락하고 그에 따라 임금이 적정수준으로 증가하지만, 임금이 보장되지 못하는데도 노동 공급이 증가하는 현실을 지적하였다. 그것은 최저생계비가 부족한 노동자가 돈을 더 벌기 위하여 잔업을 하거나 여자와 아동까지 노동에 참여한 결과였다.

    우리나라에서는 1988년 이후 최저임금법이 시행되어 왔지만 최저임금 인상이 물가 상승을 따라가지 못하면서 비정규직과 근로빈곤층이 증가하고 소득 양극화는 심화하였다. 따라서 최저임금제도가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는 노동 약자의 경제적 상황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정부는 최저임금을 노동자와 영세 자영업자의 관계에서만이 아니라 다양한 경제적 요인과 연관하여 산정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최저임금과 통상임금의 격차가 크지 않다. 그만큼 양극화와 독점의 문제가 심각하다는 증거이다. 최저임금 산정은 화폐 가치로 표시된 명목임금이 아니라 시장 가치로 환산한 실질임금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최저임금제도는 경제의 근본 원리인 공정한 경쟁을 실현하여 노동생산성을 향상한다. 최저임금을 인상하게 되면 임금 격차가 완화되고 소득분배의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최저임금의 인상은 물가 상승과 정부의 지원을 통한 세금 부담의 증가를 가져오게 된다. 경제학에서 임금의 상승은 여가의 기회비용을 증가시켜서 노동의 공급을 상승시킬 수 있지만, 임금의 상승으로 노동 대비 소득이 증가하여 오히려 노동 공급의 감소를 일으킬 수도 있다. 최저임금 대상자가 주로 노동 약자와 미숙련자이기에 노동생산성이 떨어진다는 주장도 부분적으로는 설득력이 있다. 하지만 평등의 실현보다 불평등의 해소가 더 시급한 문제이다. 존 롤스(John Rawls)는 사회정의를 실현하기 위해서 최대 다수에게 최대 이익을 주는 공리주의적 평등의 실현보다 사회적 약자가 겪는 불평등의 문제부터 시정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시장에서 균형가격이 항상 최적 가격은 아니다. 노동시장은 불완전 경쟁시장이며 노동에 대한 평균임금이 곧 최적 임금은 아니다. 노동시장에서는 수요자의 가격결정력이 공급자의 가격결정력을 지배하며 평균임금은 최저임금보다 더 낮게 형성된다. 최저임금제는 이러한 격차를 해소하는 장치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성별에 따라, 정규직과 비정규직에 따라 임금 격차가 크고 최저임금을 받지 못하는 노동자가 25%에 이른다. 외국인과 장애인에 대한 차별적 임금도 개선되지 않고 있다. 노동은 상품화되거나 자본에 종속될 수 없다. 최저임금의 문제는 시장 상황과 노동권이 충돌하는 문제이다. 시장은 인간 활동의 결과물이며 인간의 권리는 시장 질서보다 우선한다. 최저임금의 보장은 생존권이며 타협의 대상이 아니다.

    홍순원 논설위원·(사)한국인문학연구원 이사장

    Share. Facebook Twitter Email

    Related Posts

    [홍순원 칼럼] 통일과 이데올로기

    2024년 10월 21일

    [오민석 칼럼] 지역문화 참여의식과 문화력

    2024년 10월 21일

    [오민석 칼럼] 관광과 연계한 문화력

    2024년 10월 14일
    Leave A Reply Cancel Reply

    Demo
    Our Picks

    “대학이 평생교육 중심”…교육부 ‘인공지능·디지털 30+ 프로젝트’ 발표

    2024년 10월 21일

    군산시 교육도시 조성 동력 확보…평생교육 등 7개 공모에 선정

    2024년 10월 21일

    안산 다채움 학습성과공유회 성료…”배움을 나눔으로 실천”

    2024년 10월 21일

    수원화성예다교육원, 우리문화진흥원 수원지부로 지정…현판 전수

    2024년 10월 21일
    Stay In Touch
    • Facebook
    • Twitter
    • Pinterest
    • Instagram
    • YouTube
    • Vimeo
    Don't Miss

    “대학이 평생교육 중심”…교육부 ‘인공지능·디지털 30+ 프로젝트’ 발표

    최신뉴스

    ‘인공지능·디지털 경력 도약권’ 신설 등…30세 이상 성인 역량 강화학점은행제 등 전통적 평생학습제도 개선…기술변화 수요 반영·학위…

    군산시 교육도시 조성 동력 확보…평생교육 등 7개 공모에 선정

    2024년 10월 21일

    공주 ‘제9회 평생학습&책 축제’ 성황…탄소중립 실천 의지 주력

    2024년 10월 21일

    안산 다채움 학습성과공유회 성료…”배움을 나눔으로 실천”

    2024년 10월 21일

    Subscribe to Updates

    Get the latest creative news from SmartMag about art & design.

    About Us
    About Us

    제호: 평생학습타임즈 |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경기, 아51323 | 등록일: 2015년 10월 22일 |
    발행인: 최운실 | 편집인: 김들풀 | 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 : 원종성 | 고충처리인: 김들풀 |
    주소: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광교중앙로 170(하동, 광교 효성해링턴 타워), A동 811호

    Email Us: lltimes@lltimes.or.kr
    Contact: 031-219-2667

    Our Picks

    “대학이 평생교육 중심”…교육부 ‘인공지능·디지털 30+ 프로젝트’ 발표

    2024년 10월 21일

    군산시 교육도시 조성 동력 확보…평생교육 등 7개 공모에 선정

    2024년 10월 21일

    안산 다채움 학습성과공유회 성료…”배움을 나눔으로 실천”

    2024년 10월 21일
    New Comments
    • 워드프레스 댓글 관리 도구 - 안녕하세요!
    Facebook X (Twitter) Instagram
    • Home
    • Buy Now
    © 2025 평생학습타임즈 All rights reserved.

    Type above and press Enter to search. Press Esc to cancel.